맨위로가기

시맨틱 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맨틱 웹은 컴퓨터가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웹의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기술이다. 기존 웹의 키워드 기반 검색의 한계를 극복하고, 의미적 상호 운용성을 통해 정보 처리 자동화, 데이터 통합, 재사용을 목표로 한다. 팀 버너스리가 제시한 시맨틱 웹은 HTML 대신 XML, RDF, OWL 등의 언어를 사용하여 정보의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며, 에이전트 기술을 활용하여 지능적인 정보 검색과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은 웹 2.0과 연계되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공유를 통해 웹을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식공학 -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모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을 돕는 대화형 컴퓨터 시스템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고, 의사결정 과정 개선 및 최적화에 중점을 두며 한국적 맥락에서는 투명성, 공정성, 시민 참여 확대 및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한 발전이 중요하다.
  • 지식공학 - 온톨로지
    온톨로지는 철학의 존재론에서 유래하여 정보기술 분야에서 지식의 위치와 관계를 명확히 하는 연구 분야로 사용되며, 시맨틱 웹 구현의 핵심 도구로서 웹 자원 관리 및 정보 검색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시맨틱 웹 - 시맨틱 네트워크
    시맨틱 네트워크는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 표현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며 인공지능,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시맨틱 웹 - 웹 온톨로지 언어
    웹 온톨로지 언어(OWL)는 시맨틱 웹 구축을 위한 지식 표현 언어로, W3C 웹 표준이며, 온톨로지 명시적 표현을 통해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기술 논리에 기반하여 표현력 수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제공한다.
  • 웹 서비스 - 빅쿼리
    빅쿼리는 구글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드레멜을 기반으로 수조 행의 데이터에 대한 빠른 쿼리를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관리, 쿼리 실행, 서비스 통합, 접근 제어, 기계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 웹 서비스 - AWS 일래스틱 빈스토크
    AWS 일래스틱 빈스토크는 자바, PHP, 파이썬, Node.js, 루비, .NET, Java SE, 도커, Go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 스택을 지원하여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를 단순화하는 AWS의 서비스이다.
시맨틱 웹

2. 시맨틱 웹의 개념

웹 기술은 정보표현과 전달에 간편한 방법을 제공하여 인터넷이 실생활까지 확산되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웹상에 축적된 정보가 방대해 짐에 따라 많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웹 기술은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에 대하여 키워드(keyword)에 의한 정보 접근만을 허용하고 있어, 정보 검색시 무수히 많은 불필요한 정보가 돌출하여 정보 홍수를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컴퓨터가 필요한 정보를 추출, 해석, 가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모든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개입해서 처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근본원인은 컴퓨터가 정보자원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다. 이러한 웹 기술은 팀 버너스리가 초창기에 구상하였던 웹과도 거리가 있다.

2001년 팀 버너스리등에 의해 웹 기술의 비전으로 시맨틱 웹이 제시되었다. 시맨틱 웹은 기존 웹을 확장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잘 정의된 의미를 기반으로 의미적 상호운용성(semantic interoperability)을 실현하여, 다양한 정보자원의 처리 자동화, 데이터의 통합 및 재사용등을 컴퓨터가 스스로 수행하여, 인간과 컴퓨터 모두 잘 이해할 수 있는 웹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시맨틱 네트워크 모델의 개념은 1960년대 초 인지 과학자 앨런 M. 콜린스, 언어학자 로스 퀼리안, 그리고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F. 로프터스와 같은 연구자들에 의해 의미적으로 구조화된 지식을 표현하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현대 인터넷 환경에서 이 개념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웹 페이지하이퍼링크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페이지와 페이지 간의 관계에 대한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삽입한다. 이는 웹 크롤러와 같은 자동화된 에이전트가 웹에 더욱 지능적으로 접근하고 사용자를 대신하여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시맨틱 웹"이라는 용어는 월드 와이드 웹의 발명자이자 시맨틱 웹 표준 제정을 감독하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의 이사인 팀 버너스리에 의해 만들어졌다.[57] 그는 시맨틱 웹을 "기계가 직접적이고 간접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웹"으로 정의한다.

W3C가 제안한 많은 기술들은 W3C의 관리하에 놓이기 전부터 이미 존재했다. 이러한 기술들은 제한되고 정의된 도메인을 포함하는 정보, 그리고 데이터 공유가 필수적인 과학 연구나 기업 간의 데이터 교환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게다가, 마이크로포맷과 같이 유사한 목표를 가진 다른 기술들도 등장했다.

2. 1. 의미적으로 주석화된 웹

온톨로지로 주석화된 웹 정보 자원은 일종의 지식 베이스를 형성한다. 시맨틱 웹에서는 온톨로지의 의미적 상호 운용성을 기반으로 인터넷의 분산 정보 자원을 의미적으로 통합한 거대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2. 2. 에이전트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수집, 검색, 추론하고 다른 에이전트와 정보를 교환하는 지능형 에이전트가 시맨틱 웹의 핵심 요소이다. 지능형 에이전트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상호 정보 교환 등의 일을 수행한다.

2. 3. HTML5에서의 시맨틱 웹

HTML5에서는 시맨틱 웹을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들이 추가되었다. 기존에는 `